세개의 이부자리와 잠못드는 밤 - 이진준

2022. 8. 9. 10:00작품 읽어보기

728x90

 

어디에나 있는 하지만 어디에도 없는 시리즈 : 불면증 & 불꽃놀이

 

 

이진준 - '어디에나 있는 하지만 어디에도 없는' 시리즈 - 불면증 & 불꽃놀이
이진준 - '어디에나 있는 하지만 어디에도 없는' 시리즈 - 불면증 & 불꽃놀이 ㅣ 2017 ㅣ 6채널 영상설치

 

 

[덕수궁 야외프로젝트: 빛·소리·풍경]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이 문화재청 덕수궁 관리소와 함께 진행하는 전시로, 올해로 120주년이 되는 대한제국 선포(1897)를 기념하며 그동안 익숙하던 화이트큐브 형식의 미술관 내부에서 벗어나 이색 공간인 덕수궁에서 펼쳐지는 전시입니다.

 

덕수궁은 임진왜란 직후 선조가 머물면서 왕궁으로서의 역사가 시작된 곳이며,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조선이 자주 독립군임을 대외에 밝힌 의지의 장소이기도 합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역사적 공간을 참여 작가(9)들이 수개월간 출입하면서, 대한제국 시기를 모티브로 덕수궁에 내재된 역사적 배경과 독특한 공간적 특성을 작가 본인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해 조형적인 접근을 시도한 작품들로 덕수궁 내 7개의 공간에 마련되었습니다.


 

덕수궁 함녕전 [Deoksugung Hamnyeongjeon, 德壽宮 咸寧殿]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제공
덕수궁 함녕전 [Deoksugung Hamnyeongjeon, 德壽宮 咸寧殿]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제공
덕수궁 함녕전 [Deoksugung Hamnyeongjeon, 德壽宮 咸寧殿]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제공

 

 

덕수궁 함녕전 [Deoksugung Hamnyeongjeon, 德壽宮 咸寧殿]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제공

 

덕수궁 함녕전 [Deoksugung Hamnyeongjeon, 德壽宮 咸寧殿]

1985 1 8일 보물 제820호로 지정되었다. 정면 3, 측면 4, 후면 4칸으로 익공계(翼工系) 양식의 팔작지붕이다.

 

1897(건양 2)에 창건되었으나, 1904(광무 8) 화재로 불탔다. 현재의 건물은 화재 직후에 중건된 것이다. 이 전각은 고종이 거처하던 곳으로, 임금 자리를 순종에게 물려준 후 잠시 수옥헌(文墻)처럼 무늬를 놓은 흙벽이 처졌다. 집은 매우 크고 무게가 있으면서도 장식은 매우 간소하다.

 

 

보물 제820. 덕수궁 함녕전은 1897(광무 1)에 고종이 머물렀던 침전으로 세워졌으며, 1904(광무 8)에 화재로 불에 타서 그해 다시 지은 건물로, 순종에게 선위를 물려준 고종이 1919 1 22일 승하하신 곳이다.

함녕전은 고종이 침전으로 사용하던 공간으로, 1897(광무 1)에 건축되어 1904(광무 8)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같은 해월에 중건되었다. 1919 1 22일 고종은 이곳에서 사망하였다.

 

 


 

 

이진준, <'어디에나 있는 하지만 어디에도 없는' 시리즈 - 불면증 & 불꽃놀이>, 2017 6채널 영상설치

 

 

이진준 작가는 한국과 일본을 거쳐 현재 영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로 영상과 조각을 전공했습니다. 실험영화와 연극 및 미술을 결합하는 작업으로 첫 개인전 <역할놀이> (2007)를 시작한 작가는 조각, 설치, 사진, 건축, 영화,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에서 실험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최근 작가는 비물질적인 시간을 개념화하고 조각적으로 시각화하여, 비선형적인 '수직적 시간'의 개념들을 드러내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운드와 영상의 부조화를 통해 낯선 긴장과 불편함을 드러내는 작가의 영상설치 작업들은 과거 역사적인 비극을 겪은 장소에 감춰진 두꺼운 '시간의 퇴적층'을 현재의 전시 공간으로 환기시키며 트라우마의 기억으로 재구성된 새로운 서사적 풍경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덕수궁 안의 모든 것이 소중한 유산이지만, 특히 이곳 함녕전은 고종황제의 편전(임금이 평소 업무를 보는 공간)이자 침전으로 사용됐던 공간이며, 고종이 승하한 장소로 역사적으로 그 의미가 남다른 곳입니다.

 

 

이 공간엔 방 내부와 외부 벽에 두 개의 영상이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진준 작가의 <’어디에나 있는 하지만 어디에도 없는‘ 시리즈 - 불면증 & 불꽃놀이>입니다. 작가는 이 함녕전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에 과거 고종황제가 석조전을 만들어 놓고도 일본으로부터의 암살을 우려해 이곳에 이부자리 세 개를 펴놓고 어느 곳에서 자는지 모르도록 번갈아 사용하면서도, 암살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불면증에 시달렸다는 기록을 보게 됐습니다.

 

그런데 우연인지 이진준 작가 본인도 오랜 불면증으로 고생하던 시절이 있어 그 고통을 잘 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시절, 벽에 부딪히는 블라인드 소리를 듣고 제작했던 영상 작품 <Insomnia(불면증)>(2006)을 업그레이드하여 내부 벽면에 창처럼 보여주고 있습니다.

 

외부 벽에는 일본에서 촬영한 불꽃놀이 영상과 과거 핵폭탄 투하 영상 등을 모아 재구성해 불꽃놀이라는 작품명으로 새롭게 선보이고 있습니다. 마주 보고 있는 두 개의 영상은 한쪽은 환호성 치며 박수치는 소리의 불꽃축제 모습이고, 한쪽은 핵폭탄 폭발 장면이 상영되고 있는데 그 소리가 축제의 소리인 건지 전쟁의 소리인지 모순적으로 들리기까지 합니다.

 


작가는 그 모순을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를 동시에 여러분께 말하며 보여주고 있습니다.


바로 영상 속 불꽃놀이를 유토피아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작가는 이스라엘에 있었던 사건을 비추어 작품 속에 뼈 있는 말표현하기로 하였습니다.

 

과거 이스라엘은 분쟁 지구인 팔레스타인을 폭격하였습니다. 두 나라가 인접하여 당시 이스라엘 청년들은 불과 1Km 정도 떨어진 언덕 위에서 폭격된 팔레스타인을 보며 손뼉을 치거나 팝콘을 먹으며, 맥주를 마시는 이들도 있었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학살되었던 끔찍한 상황 속에서 폭탄이 떨어지는 것을 불꽃놀이 구경하듯 즐기고 있는 것에 대해 작가는 굉장히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진준 작가는 우리나라 역시 일본강점기에 차별과 착취, 징용으로 인하여 괴롭고, 비극적인 상황에서 주변의 열강들은 그런 우리나라의 모습을 불꽃놀이 구경하듯이 보고만 있었던 것을 단적으로 꼬집어 표현하고 싶었다고 합니다.

 

 

 


 

고종황제가 생을 마감한 함녕전이라는 공간 안에 설치된 이진준 작가의 작품은 황제라는 화려한 수식어 뒤에 불면증을 겪는 나약한  한 인간으로서의 불안감과 열강들의 관망의 시선 - 두 가지를 상반되는 영상으로 빗대어 완성한 작품입니다.






 

 

 

 

 

※ 설명되는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도슨트에게 제공하는 자료에 기본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  모든 글에 대한 지적재산 및 저작권은 도슨트 하히라 작가 본인에게 있으며 출처 없이 사용하는 것과 복제하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

 

 

728x90